넋두리
심리를 알아보는 각종 효과에 대하여
산동1
2012. 4. 20. 16:50
★
플라시보 효과(위약) - 플라시보란 실제로는 아무 효능이나 효과도 없는 설탕 등으로 만든 가짜약 따위를 말한다. 환자에게 가짜약을 주면서 효과가 있다고 말하면 실제 약을 먹었을 때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연구원들은 인간의 마음이 치유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고 때로는 약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피그말리온(pygmalion) 효과 - 피그말리온이라는 사람이 자기가 만든 여자 조각상을 너무도 사랑했기 때문에 그 조각이 진짜 여자가 되었다고 해서 나온 말로, 긍정적으로 기대하면 그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 자성적 예언효과를 말한다.★
로젠탈(Rosenthal) 효과 - 가짜 지능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아주 대단하여 앞으로 성적이 쑥쑥 오를 것이라고 이야기 해주었더니 실제로 그런 현상이 발생한다는 효과★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 세상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 원효대사의 이야기
★
낙인효과(stigma) - 피그말리온 효과와는 반대로 나쁜 사람이라고 부정적인 낙인이 찍히면 그 낙인에 걸맞는 행동을 한다는 것★ 후
광효과(halo) - 어떤 사람이 갖고 한 가지 장점이나 매력 때문에 다른 특성들도 좋게 평가되는 것★
악마효과(devil) - 후광효과와는 반대로 못생긴 외모 때문에 그 사람의 다른 측면까지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것★
방사효과(Radition) - 예쁜 여자랑 다니는 못생긴 남자는 뭔가 다른 특별한 게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처럼 매력이 있는 짝과 있을 때 사회적 지위나 자존심이 고양되는 것★ 대
비효과(Contrast) - 방사효과와는 반대로 여자들이 자기보다 예쁜 친구와는 될 수 있는 같이 미팅에 나가지 않는 것처럼 너무 매력적인 상대와 함께 있으면 그 사람과 비교되는 평가절하 되는 효과★
스톨홀롬(Stockholm) 신드롬 - 스톡홀롬의 은행 강도에게 인질로 잡힌 여자가 그 강도외 사랑에 빠진 것처럼 왕창 겁을 준 다음에 주는 호의가 더 효과적이다라는 것★
위적 공격행동(Displaced Aggression) - 자기 마누라한테 받은 분풀이를 회사에 와서 부하 직원에게 푸는 것처럼 처벌을 가한 자에게 공격행동을 하기보다는 다른 대상을 찾아 분노감을 해소하는 것(종로에서 뺨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종로의 시전에서 흥정 끝에 위세 높은 상인과 시비가 벌어져도 아무 소리 못하다가 한강의 난전에 가서 힘없는 노점상에게 화풀이를 한다는 데서 유래)★
자기 이행적 예언 - 며느리가 미우면 며느리의 발뒤꿈치까지 밉다고 어떤 사람을 의심하면 하는 것마다 수상하게 보이고 미워하면 미운 짓만 하는 것 같은 것★
단순접촉효과(Effect of simple contrast) -자주 보면 정이 드는 것처럼 단지 자주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이 호감을 갖는 것★
초두효과(Primacy Effect) - 만남에서 첫인상이 중요한 것처럼 먼저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들어온 정보보다 전반적으로 인상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
★
맥락효과(Context Effect) - 성실한 사람이 머리가 좋으면 머리 좋은 사실이 지혜로운 것으로 해석되고 이기적인 사람이 머리가 좋으면 교활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 또 예쁜 여자가 공부를 잘하면 기특한 것고, 못생긴 여자가 공부를 잘하면 독한 년이라고 처음에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들어오는 정보들의 처리 지침을 만들고 전반적인 맥락을 제공하는 것★
부정성의 효과(Negative Effect) - 한번 전과자는 사회에 발붙이기 힘들다고 하듯이 부정적인 특징이 긍정적인 것보다 인상형성에 더 강력하게 작용하는 것★
수면자 효과(Sleeper Effect) - 큰 잘못을 해도 시간이 지나면 용서 받을 수 있듯이 초기에 제시된 정보도 잠자고 나면 점차 망각되는 것★
터널시야 현상(Tunnel Vision) - 열 받으면 눈에 뵈는 게 없는 거처럼 생리적인 흥분이 증가되어 주의력과 정보처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
심리적 반발(Psychological) 멍석 깔아주면 안하는 것처럼 하라면 하기 싫고, 말리면 하는 것★
조건반사(Conditioning) - “파브로의 개”처럼 과거에 경험했던 어떤 자극이 제시되면 그 자극상황에서 나타났던 반응들이 일어나는 것